Wireless and Mobile Networks: context
- 무선 전화 가입자 수 증가
- 모바일 브로드밴드 연결 장치 증가
- 두 가지 주요 도전 과제
- 무선(Wireless): 무선 링크를 통한 통신
- 모빌리티(Mobility): 네트워크 연결 지정을 변경하는 모바일 사용자를 처리하는 문제
Chapter7 outline
- introduction
Wireless
- Wireless Links and Network Charateristics(무선 링크 및 네트워크 특성)
- WiFi: 802.11 Wireless LANs(무선 랜)
- Cellular Networks: 4G and 5G(셀룰러 네트워크)
Mobility(모빌리리티)
- Mobility Management: Principles(모빌리티 관리 원칙)
- Mobility Managemet: Practice(모빌리티 관리 실무)
- Molbility: Impact on Higher-Layer Protocols(모빌리티가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미치는 영향)
Elements of a wireless network
base station(기지국)
- 기능
- 무선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
-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,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호스트(단말기) 간의 패킷 전송을 담당
- 연결 방식:
- 유선 네트워크 infrastructor에 연결된다.
- 무선 호스트(e.g. 스마트폰, 노트북)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중계한다.
- 예시:
- 셀 타워(기지국)
- 802.11 access point(wifi AP)
Relay(중계기)
- 역할
-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호스트 사이에서 패킷을 전송
- 기지국의 영역 내에서 무선 호스트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.
Wireless Link(무선 링크)
- 기능
- 주로 모바일 장치(e.g. 스마트폰, 태블릿)를 기지국에 연결하는 데 사용
- 또한 백본 링크(중추 네트워크 연결)로 사용될 수 있다.
- 접근 방식
- 다중 접근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링크 접근을 조정한다. 이는 여러 장치가 동일한 무선 채널을 공유할 때 충돌을 피하고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.
- 특성
- 다양한 전송 속도와 거리,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.
- 무선 링크의 전송 속도는 네트워크의 요구 사항과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있다.
Characteristics of Selected Wireless
Element of a wireless network
Infrastructure mode(인프라 모드)
기지국 역할
- 기지국은 모바일 장치(스마트폰, 노트북 등)를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한다.
- 이는 기지국이 모바일 장치와 유선 네트워크 사이의 중개 역할을 수행함을 의미한다.
핸드오프(Handoff)
- 핸드오프는 모바일 장치가 연결을 유지하면서 한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전환하는 과정
- 모바일 장치가 이동하면서 기존 기지국과의 연결을 끊고 새로운 기지국과 연결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.
Ad Hoc Mode(애드혹 모드)
- 기지국 없음
- 애드혹 모드에서는 중앙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는다. 즉, 각 장치들이 독립적을 통신한다.
- 노드 간의 직접 통신
- 노드들을 링크 범위 내에서 다른 노드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. 이는 장치들 간의 직접 연결을 의미한다
- 네트워크 자율 구성
- 노드들은 스스로 조직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, 서로 간의 라우팅을 처리한다. 각 노드가 라우터 역할을 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.
Wireless network taxonomy
infrastructure
- Single hop
- 호스트가 기지국(e.g. WiFi, 셀룰러)에 연결되고, 기지국이 더 큰 인터넷에 연결된다.
- e.g. WiFi 액세스 포인트(AP) 또는 셀룰러 타워에 연결된 스마트폰
- Multiple hops
- 호스트가 더 큰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 여러 무선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중계해야 할 수 있다.
- e.g. mesh network, 여러 중간 노드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
no infrastructure
- Single hop
- 기지국이 없으며, 더 큰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다. 대신, 장치들 간의 직접 연결이 이루어진다.
- e.g. 블루투스, ad hoc 네트워크
- Multiple hops
- 기지국 없이 더 큰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으며, 주어진 무선 노드에 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중계해야 한다.
- e.g.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(MANET),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(VANET)
Wireless
Wireless link characteristic
무선 링크와 유선 링크의 중요한 차이점
- 신호 강도 감소(decreased signal strength)
- 무선 신호는 물체를 통해 전파될 때 감쇠한다. 이것을 경로 손실(path loss)이라고 한다.
- 물리적인 장애물이나 거리 증가로 인해 신호 강도가 약해진다.
- 다른 소스의 간섭(interference from other sources)
- 무선 네트워크는 많은 장치들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(e.g. 2.4 GHz)을 공유한다.
- WiFi, 셀룰러 네트워크, 모터 등 여러 장치들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.
- 다중 경로 전파(multiple propagation)
- 무선 신호는 물체나 지면에 반사되어 여러 경로를 통해 수신기에 도달한다.
- 이러한 반사로 인해 신호가 목적지에 약간 다른 시간에 도착하게 된다.
이러한 요인들은 무선 링크에서의 통신을 유선 링크보다 훨씬 더 어렵게 만든다. 심지어 point-to-point 통신에서도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.
SNR: 신호 대 잡음비(Signal-to-Noise Ratio)
- SNR는 신호 강도와 잡음 강도의 비율이다.
- SNR이 클수록 잡음 속에서 신호를 추출하기가 더 쉬워진다. 따라서 높은 SNR은 좋은 것이다.
SNR과 BER 간의 상층 관계(SNR vs BER Tradeoffs)
- BER(Bit Error Rate)는 비트 오류율로, 전송된 비트 중 오류가 발생하는 비율을 나타낸다.
- SNR과 BER 사이에는 상충 관계가 있다. 즉, SNR이 증가하면 BER이 감소하고, 그 반대도 성립한다.
주어진 물리 계칭(given physical layer)
-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면 SNR이 증가하고, 이에 따라 BER이 감소한다.
주어진 SNR(given SNR)
- 주어진 SNR에서 BER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물리 계층을 선택하여 최대의 처리량을 달성할 수 있다.
- e.g QAM256(8 Mbps), QAM16(4 Mbps), BPSK(1 Mbps) 등의 변조 기술과 속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.
SNR과 BER 간의 상충 관계를 다루는 방법
- 이동성에 따라 SNR이 변할 수 있기에, 물리 계층을 동적으로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. 이는 변조 기술과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.
여러 무신 송신자와 수신자가 만드는 추가적인 문제
Hidden Terminal Problem(숨겨진 터미널 문제)
- e.g.
- A, B, C 세 노드가 있다.
- A, B는 서로의 신호를 들을 수 있다.
- B, C도 서로의 신호를 들을 수 있다
- A, C는 서로의 신호를 들을 수 있다
- 문제
- 만일 A, C가 동시에 B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하면, B는 두 신호의 충돌로 인해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 못할 수 있다.
- A, C는 서로의 신호를 들을 수 없기에 충돌이 발생하는지 인식하지 못한다. 따라서 A와 C는 자신들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.
Signal Attenuation(신호 감쇠)
- e.g.
- A, B, C 노드가 있다.
- A, B는 서로의 신호를 들을 수 있다.
- B, C도 서로의 신호를 들을 수 있다.
- 하지만 A와 C는 서로의 신호를 들을 수 없다.
- 문제
- A와 C는 서로의 신호를 들을 수 없기에 B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B에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.
- B는 두 신호를 모두 들을 수 있기에 충돌을 감지할 수 있다.
- A와 C는 서로의 신호를 들을 수 없기에 자신들의 신호가 B에서 충돌하는지 알 수 없다.
- 그래프 설명
- 그래프에서 A의 신호 세기와 C의 신호 세기가 공간에 따라 다르게 변하는 것을 보여준다.
- B는 A와 C의 신호를 모두 듣지만, A와 C는 서로의 신호를 듣지 못하는상황을 나타낸다.
Code Division Multiple Access(CDMA)
- 개념
- 고유 코드: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"코드"가 할당된다. 이를 코드 세트 분할이라고 한다.
- 공유 주파수: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하지만, 각 사용자는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고유의 "chipping" 시퀀스(즉, 코드)를 사용한다.
- 장점
- 동시 전송: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존재하고 전송할 수 있으며, 코드가 직교(orthogonal) 인 경우 최소한의 간섭으로 동작할 수 있다
- 인코딩
- 내적(inner product): (원본 데이터) x (칩핑 시퀀스)
- 디코딩
- 내적 합계(summed inner product): (인코딩된 데이터) x (칩핑 시퀀스)
WiFi: 802.11 wireless LANs
802.11 LAN archiecture
기본 개념
- 무선 호스트(wireless host):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기기(e.g. 스마트폰, 노트북 등)
- 기지국(base station): 무선 호스트가 통신하는 장치로, 흔히 AP(Access Point)라고 불림
주요 구성 요소
- 기본 서비스 세트(BSS, Basic Service Set) aka "cell"
- 무선 호스트(wireless hosts):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기기들
- 액세스 포인트(AP: Access Point): BSS 내에서 무선 호스트와 유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지국
- ad hoc mode: BSS에서 호스트들만 존재하고, AP가 없는 모드, hosts only.
- 기본 서비스 세트(BSS, Basic Service Set) aka "cell"
네트워크 구성
- BSS1, BSS2
- 여러 개의 BSS가 스위치나 라우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음
- 각 BSS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며, AP를 통해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됨
- BSS1, BSS2
802.11: Channels, assocation
채널
- 스펙트럼 분할: 다양한 주파수에서 채널로 나뉨
- AP 관리자: AP의 주파수를 선택
- 간섭 가능성: 인근 AP와 같은 채널을 선택할 수 있음
호스트 연결 절차
- 도착한 호스트: AP와 연동(associate)해야 함
- 채널 스캔: 호스트는 채널을 스캔하며, beacon frames을 청취
- beacon frames에는 AP의 이름(SSID)과 MAC 주소가 포함됨
- AP 선택: 연동할 AP를 선택
- 인증 수행: 보통 인증 절차를 수행
- DHCP 실행: AP의 서브넷에서 IP 주소를 얻기 위해 보통 DHCP를 실행
- 채널 스캔: 호스트는 채널을 스캔하며, beacon frames을 청취
802.11: passive/active scanning
Passive Scanning(패시브 스캐닝)
- beacon frames 전송: AP에서 비컨 프레임을 전송
- 연동 요청 프레임 전송: H1에서 선택된 AP로 연동 요청 프레임(Association Request frame)을 전송
- 연동 응답 프레임 수신: 선택된 AP에서 H1에게 연동 응답 프레임(Association Response frame)을 전송
Active Scanning(액티브 스캐닝)
- 프로브 요청 프레임 전송: H1이 프로브 요청 프레임(Probe Request frame)을 브로드 캐스트
- 프로브 응답 프레임 수신: AP들에서 H1에게 프로브 응답 프레임(Probe Response frame)을 전송
- 연동 요청 프레임 전송: H1이 선택된 AP로 연동 요청 프레임(Association Request frame)을 전송
- 연동 응답 프레임 수신: 선택된 AP에서 H1에게 연동 응답 프레임(Association Response frame)을 전송
IEEE 802.11: multiple access
충돌 방지
- 충돌 회피: 2개 이상의 노드가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력한다.
CSMA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)
- 전송 전 감지: 다른 노드가 이미 전송 중인 신호를 감지하고 전송을 시작하지 않는다.
충돌 감지 없음
- 충돌 감지 어려움: 강한 전송 신호와 약한 수신 신호로 인해 충돌을 감지하기 어렵다
- 모든 충돌을 감지할 수 없음: 숨겨진 터미널 문제와 페이딩으로 인해 모든 충돌을 감지할 수 없다.
목표
- 충돌 회피: CSMA/CA(Collision Avoidance)를 통해 충돌을 피하는 것이 목표
IEEE 802.11 MAC Protocol: CSMA/CA
802.11 송신지(Sender)
- 채널이 DIFS 동안 비어 있는 경우
- 프레임 전체를 전송한다.(CD 없음)
- 채널이 바쁠 경우
- 무작위 백오프 타이머를 시작한다.
- 채널이 비어 있는 타이머가 다운 카운트를 한다.
- 타이머가 만료되면 전송을 시작한다.
- ACK을 받지 못하면 무작위 백오프 간격을 증가시키고 2번 단계로 다시 돌아간다.
802.11 수신기(Receiver)
- 프레임을 제대로 수신한 경우
- SIFS 후 ACK을 반환한다.(숨겨진 터미널 문제 때문에 ACK이 필요함)
Avoiding collisions
개념 (Idea)
- 송신기(Sender) 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작은 예약 패킷을 사용하여 채널 사용을 "예약"합니다.
과정(Process)
- 송신기는 먼저 작은 전송 요청 (RTS: Request to Send) 패킷을 CSMA를 사용하여 기지국 (BS)으로 전송합니다.
- RTS 패킷은 여전히 서로 충돌할 수 있지만, 짧은 패킷이기 때문에 그 영향은 작습니다.
- 기지국 (BS)는 RTS에 응답하여 전송 허가 (CTS: Clear to Send)를 브로드캐스트합니다.
- CTS는 모든 노드에 들립니다.
- 송신기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합니다.
- 다른 스테이션들은 전송을 지연합니다.
- 송신기는 먼저 작은 전송 요청 (RTS: Request to Send) 패킷을 CSMA를 사용하여 기지국 (BS)으로 전송합니다.
Collision Avoidance: RTS-CTS exchange
802.11 frame: addressing
802.11 프레임의 주소 체계에 대해 설명
각 프레임에는 여러 개의 주소 필드가 있으며, 각 주소는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.
각 주소 필드의 역할
- Address 1: 프레임을 수신할 무선 호스트 또는 AP의 MAC 주소입니다. 이 주소는 프레임이 어디로 갈지 지정합니다.
- Address 2: 프레임을 송신하는 무선 호스트 또는 AP의 MAC 주소입니다. 이 주소는 프레임이 어디서 왔는지 나타냅니다.
- Address 3: AP가 연결된 라우터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입니다. 이 주소는 프레임이 더 큰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한 라우터의 주소를 나타냅니다.
- Address 4: 애드 혹 모드에서만 사용됩니다.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는 노드들이 직접 통신하므로 추가적인 주소가 필요합니다.
802.11 WiFi 프레임 주소 체계
- address 1 (AP MAC addr): 프레임을 수신할 AP의 MAC 주소
- address 2 (H1 MAC addr): 프레임을 송신하는 호스트 H1의 MAC 주소
- address 3 (R1 MAC addr): AP가 연결된 라우터 R1의 MAC 주소
802.3 Ethernet 프레임 주소 체계
- MAC dest addr (R1 MAC addr): 라우터 R1의 MAC 주소
- MAC source addr (H2 MAC addr): 다음 홉(또는 송신 호스트)의 MAC 주소
프레임 타입(RTS, CTS, ACT, Data)
- RTS (Request To Send): 작은 예약 패킷으로 채널 사용을 예약합니다.
- CTS (Clear To Send): RTS에 대한 응답으로 채널 사용을 허가합니다.
- ACK (Acknowledgement): 데이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확인합니다.
- Data: 실제 데이터를 포함한 프레임.
802.11: mobility within same subnet
H1이 동일한 IP 서브넷 내에 있을 때:
- H1이 동일한 IP 서브넷 내에 남아 있으면, IP 주소를 변경할 필요가 없습니다. 이는 네트워크의 주소 체계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
스위치의 역할:
- 스위치는 H1이 어떤 AP (액세스 포인트)와 연결되어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.
- 스위치는 셀프 러닝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. 즉, 스위치는 H1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H1을 도달할 수 있는 스위치 포트를 "기억"합니다.
802.11: advanced capabilities
속도 적응(Rate Adaptation)
설명
- 속도 적응은 무선 호스트가 이동하면서 신호 대 잡음 비율(SNR)이 변할 때 전송 속도(물리 계층 변조 기술)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기능입니다.
- 기지국과 모바일 장치는 이동 중에 SNR에 따라 전송 속도를 조정합니다.
두 가지 주요 과정
SNR 감소 및 BER 증가:
- 모바일 장치가 기지국에서 멀어지면 SNR이 감소하고, 이로 인해 비트 오류율(BER)이 증가합니다.
BER이 너무 높을 때:
- BER이 너무 높아지면, 시스템은 더 낮은 전송 속도로 전환하여 BER을 낮춥니다. 이는 낮은 SNR에서 더 신뢰성 있는 통신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.
# 802.11: advanced capabilities
전력 관리(Power Management)
node-to-AP 메시지:
- node-to-AP: "나는 다음 비콘 프레임(beacon frame)까지 잠을 잘 거야"
- 무선 노드가 AP(Access Point)에게 자신이 잠자리에 들 것임을 알립니다.
- 이 메시지를 받으면 AP는 이 노드에게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습니다.
- 노드는 다음 비콘 프레임 전에 깨어납니다
- node-to-AP: "나는 다음 비콘 프레임(beacon frame)까지 잠을 잘 거야"
비콘 프레임 (Beacon Frame):
- 비콘 프레임:
- 비콘 프레임은 AP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으로,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.
- 여기에는 AP에서 모바일 장치로 전송 대기 중인 프레임의 목록이 포함됩니다.
- 만약 AP에서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프레임이 있으면 노드는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, 노드는 다음 비콘 프레임까지 다시 잠자리에 듭니다.
- 비콘 프레임:
Personal area networks: Bluetooth
- 범위: 반경 10m 이내의 거리에서 작동
- 케이블 대체: 마우스, 키보드, 헤드폰 등의 케이블을 대체
- Ad hoc 모드: 인프라가 필요 없음
- 주파수 대역: 2.4~2.5 GHz ISM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, 최대 3 Mbps 속도 지원
- 마스터/클라이언트 장치:
- 마스터 장치(M): 클라이언트 장치를 폴링하고 클라이언트 전송 요청을 승인
- 클라이언트 장치(C): 마스터 장치의 제어를 받음
- Parked 장치(P): 비활성 상태의 장치
- TDM (Time Division Multiplexing):
- 625 마이크로초 슬롯: 각 장치는 시간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.
- FDM (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):
- 송신자는 79개의 주파수 채널을 사용합니다. 각 슬롯마다 알려진, 의사 랜덤 순서로 주파수를 변경하며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현합니다.
- 피코넷에 속하지 않은 다른 장치나 장비는 일부 슬롯에서만 간섭을 일으킵니다.
- Parked Mode:
- 클라이언트 장치는 '잠자기(park)'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나중에 깨어납니다.(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함).
- Bootstrapping:
- 노드들은 피코넷에 자동으로 자가 조립됩니다(플러그 앤 플레이).
4G/5G celluar networks
- 4G/5G 셀룰러 네트워크는 넓은 지역에 걸친 모바일 인터넷 솔루션으로 자리잡고 있다.
- 4G/5G 셀룰러 네트워크는 널리 배포되고 사용되고 있다.
- 2019년 기준으로 모바일 브로드밴드 연결 장치가 고정 브로드밴드 연결 장치보다 5배 더 많습니다. 이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사용이 고정 브로드밴드 사용을 능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.
- 4G 네트워크의 가용성은 한국에서는 97%, 미국에서는 90%입니다. 이는 이 두 나라에서 4G 네트워크가 거의 항상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
- 4G/5G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는 수백 Mbps에 달할 수 있습니다. 이는 매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의미합니다.
- 4G/5G 네트워크의 기술 표준은 3GPP(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)에서 정의됩니다.
- 4G는 LTE(Long-Term Evolution) 표준을 사용합니다. LTE는 4G 네트워크의 기술 표준 중 하나로,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효율성을 제공합니다.
4G/5G cellular networks
유사점(similarities to wirted internet)
- 유선 인터넷과 마찬가지로, 엣지(edge)와 코어(core) 구분이 존재하지만, 둘 다 동일한 통신 사업자에 속한다.
- 글로벌 셀룰러 네트워크는 여러 네트워크가 연결된 네트워크이다.
- HTTP,DNS,TCP,UDP,IP,NAT, 데이터/제어 평면의 분리, SDN, 이더넷, 터널링 등 앞서 학습한 프로토콜이 널리 사용된다.
- 유선 인터넷과 상호 연결된다.
차이점(differences from wired internet)
- 무선 링크 계층이 다르다.
- 이동성이 일급 서비스로 제공된다.
- 사용자의 정체성이 SIM 카드를 통해 확인된다.
- 사용자는 셀룰러 제공자에게 구독을 한다.
- "홈 네트워크"와 방문 네트워크에서의 로밍 개념이 강하다.
- 인증 인프라와 통신 사업자 간 정산을 통한 글로벌 액세스가 가능하다.
Elements of 4G LTE architecture
Mobile device(모바일 장치)
- 스마트폰, 태블릿, 노트북, IoT 장치 등: 4G LTE 라디오를 탑재한 모든 장치
- 64비트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(IMSI): SIM(가입자 신분 모듈) 카드에 저장됨
- LTE 용어:
- 사용자 장비(UE, User Equipment): LTE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장치
Base station: eNode-B
- 기지국은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의 엣지(말단)에 위치하여, 무선 신호를 통해 모바일 장치와 직접 통신한다.
- 기지국은 무선 라디오 자원을 관리하고,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(셀)에 있는 모바일 장치들을 관리한다.
- 기지국은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과 협력하여 장치 인증을 조정한다.
- WiFi 액세스 포인트(AP)와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.
- LTE 용어로 기지국은 eNode-B 라고 불린다.
Home Subscriber Service(HSS)
- HSS는 자사 네트워크를 "홈 네트워크"로 사용하는 모바일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
- 여기에는 사용자 프로필, 인증 정보, 서비스 구독 정보 등이 포함된다.
- HSS는 MME(Mobility Management Entity)와 협력하여 장치 인증을 수행한다.
- 이는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보안과 인증 절차를 통해 접근 권한을 확인하는 과정이다.
Service Gateway(S-GW)
- S-GW는 모바일 장치와 인터넷 간의 데이터 경로에 위치한다.
- 모바일 장치에서 인터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, 인터넷에서 모바일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경유하는 중간 지점이다.
PDN Gateway(P-GW)
- P-GW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.
- 외부 인터넷과 셀룰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요한 지점이다.
- P-GW는 다른 인터넷 게이트웨이 라우터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.
- 네트워크 트래픽을 라우팅하고 관리한다.
- P-GW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(NAT) 서비스를 제공한다.
- 이는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 IP 주소를 공용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.
other router
- 다른 라우터들은 터널링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.
- 터널링은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.
Mobility Management Entity(MME)
- MME는 모바일 홉 네트워크의 HSS(Home Subscriber Service)와 협력하여 장치 인증을 수행한다.
- 여기에는 장치-네트워크 간 및 네트워크-장치 간의 인증이 포함된다.
- MME는 모바일 장치 관리를 담당한다.
- 셀 간의 장치 핸드오버를 관리한다. 이는 사용자가 이동할 때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.
-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고 페이징을 통해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.
- MME는 모바일 장치에서 P-GW(PDN Gateway)로의 경로(터널링)를 설정한다.
- 이를 통해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로 전송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.
LTE: data plane control plane separation
제어 평면(Control Plane)
새로운 프로토콜
- 이동성 관리, 보안, 인증 등을 위한 새로운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구성 요소와 역할
- MME(Mobility Management Entity): 이동성 관리와 인증을 담당한다.
- HSS(Home Subscriber Service):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MME와 협력하여 인증을 수행한다.
- S-GW(Service GateWay): 데이터 전송 경로를 관리한다.
- P-GW(PDN Gateway):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관리한다.
데이터 평면(Data Plane)
- 새로운 프로토콜
-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에서 새로운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- 터널링의 광범위한 사용
-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터널링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.
- 데이터가 모바일 장치에서 인터넷으로 전달될 때 IP 터널을 통해 전송된다.
- 구성 요소와 역할
- 기지국(Base Station): 모바일 장치와 직접 통신하며,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.
- S-GW(Serving Gateway): 기지국과 P-GW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관리한다.
- P-GW(PDN Gateway): 외부 네트워크로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.
LTE data plane protocol stack: first hop
LTE 링크 계층 프로토콜
- packet data convergence
- 헤더 압축(Header Compression)
- 데이터 패킷의 헤더 크기를 줄여 전송 효율을 높인다.
- 암호화(Encryption)
-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암호화를 수행한다.
- 헤더 압축(Header Compression)
- Radio Link Control(RLC) Protocol:
- 단편화/재조립(Fragmentation/Reassembly)
- 큰 데이터 패킷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고, 이를 다시 조립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
-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(Reliable Data Transfer)
-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전송을 보장한다.
- 단편화/재조립(Fragmentation/Reassembly)
- Medium Access
- 요청 및 무선 전송 슬롯 사용
- 데이터 전송을 위해 무선 자원을 요청하고 할당받은 슬롯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
- 요청 및 무선 전송 슬롯 사용
LTE radio access network
- 다운스트림 채널
- 주파수 채널 내에서 FDM(주파수 분할 다중화)과 TDM(시간 분할 다중화)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OFDM(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(은 각 채널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"직교" 성질을 이용한다.
- 업스트림(Upstream)
- 업스트림 데이터 전송도 OFDM과 유사하게 FDM과 TDM을 사용한다.
- 할당된 시간 슬롯
- 각 활성 모바일 장치는 12개의 주파수에 걸쳐 두 개의 이상의 0.5 밀리초 시간 슬롯을 할당받는다.
- 스케줄링 알고리즘
-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, 각 통신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결정한다.
- 데이터 전송 속도
- 각 장치당 최대 수백 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.
LTE data plane protocol stack: packet core
터널링(Tunneling)
모바일 데이터그램 캡슐화(Mobile Datagram Encapsulation)
- GPRS Tunneling Protocol(GTP)을 사용하여 모바일 데이터그램을 캡슐화한다.
- 캡슐화된 데이터그램은 UDP 데이터그램 안에 넣어 S-GW로 전송된다.
S-GW의 재터널링
- S_GW는 받은 데이터그램을 다시 캡슐화하여 P-GW로 전송한다.
이동성 지원
- 모바일 사용자가 이동할 때 터널링 엔드포인트만 변경된다.
- 즉, 사용자가 이동하더라도 데이터 전송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.
LTE data plane: associating with a BS
- 기지국이 기본 동기화 신호를 모든 주파수에서 매 5ms마다 방송함
- 여러 통신사들이 기지국이 동기화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.
- 이는 모바일 장치가 기지국의 신호를 찾고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한다.
- 모바일 장치가 기본 동기화 신호를 찾고, 같은 주파수에서 두 번째 동기화 신호를 찾음
- 모바일 장치는 기지국이 방송하는 채널 대역폭, 구성, 기지국의 셀룰러 통신사 정보 등의 추가 정보를 수신한다.
- 여러 기지국과 여러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받을 수 있다.
- 모바일 장치가 연결할 기지국을선택함
- e.g. 홈 통신사를 선호하는 경우 해당 통신사의 기지국을 선택한다.
- 추가적인 단계가 필요함
- e.g. 인증, 상태 설정, 데이터 평면 설정 등을 수행해야 한다.
LTE mobiles: sleep modes
라이트 슬립(light sleep)
- 비활성 상태가 100ms 지속된 후에 라이트 슬립 모드로 전환됨
- 모바일 장치가 100ms 동안 활동이 없으면 라이트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.
-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다운스트림 전송(서버나 기지국에서 오는 데이터)이 있는지 확인한다. 이 주기는 약 100ms이다.
딥 슬립(deep sleep)
- 비활성 상태가 5~10초 지속된 후에 딥 슬립 모드로 전환됨
- 모바일 장치가 5~10초 동안 활동이 없으면 딥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.
- 딥 슬립 모드에서는 모바일 장치가 셀을 변경할 수 있으며, 이 경우 연결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.
추가 설명
- WiFi와 BlueTooth와 마찬가지로, LTE 모바일 장치는 배터리 절약을 위해 라디오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.
- 슬립 모드를 통해 모바일 장치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.
Global celluar network: a network of IP networks
홈 네트워크 HSS(Home Network HSS)
- 식별 및 서비스 정보 관리(Identity & Services Info)
- 홈 네트워크와 로밍 중일 때 모두 사용자 식별 및 서비스 정보를 관리
- HSS(Home Subscriber Server)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, 서비스 구독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.
ALL IP
- 통신사 간 상호 연결
- 통신사들은 서로 연결되며, 공용 인터넷 및 교환 지점에서 상호 연결된다.
- 이는 모든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.
- 레거시 2G, 3G
- 모든 네트워크가 IP 기반인 것은 아니다. 2G와 3G 네트워크는 IP가 아닌 방식으로 처리된다.
What is mobility?
- 무 이동성(No Mobility)
- 기기 간 네트워크 간 이동, 이동 중 전원 꺼짐
- 장치가 네트워크 간을 이동하지만, 이동 중에는 전원이 꺼져있다. 이 경우 네트워크는 이동성 관리가 필요하지 않는다.
- 기기 간 네트워크 간 이동, 이동 중 전원 꺼짐
- 중간 이동성(Medium Mobility)
- 동일 제공자 네트워크 내 동일 AP에서 이동
- 장치가 동일한 AP(Access Point) 내에서 이동한다. 네트워크는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이동성 관리를 필요로 한다.
- 동일 제공자 네트워크 내 동일 AP에서 이동
- 중간-고 이동성(Medium-High Mobility)
- 동일 제공자 네트워크 내 여러 AP 간 이동
- 장치가 동일한 제공자 네트워크 내에서 여러 AP 간을 이동한다. 네트워크는 핸드오버를 관리하여 연결을 유지해야 한다.
- 슬라이드에서 "우리가 관심 있는 부분" 이라고 강조한 부분이다.
- 동일 제공자 네트워크 내 여러 AP 간 이동
- 고 이동성(High Mobility)
- 여러 제공자 네트워크 간 이동, 연결 유지
- 장치가 여러 제공자 네트워크 간을 이동하면서 지속적인 연결을 유지한다. 이 경우, 네트워크는 복잡한 이동성 관리와 핸드오버 기술을 필요로 한다.
- 여러 제공자 네트워크 간 이동, 연결 유지
Mobility Approaches
이동성 접근 방식(Mobility Approaches)
네트워크(라우터)가 처리하게 하기 -> 광범위한 확장성 문제
- 라우터가 방문 중인 모바일 노드의 이름, 주소 또는 번호를 광고
- 라우터는 방문 중인 모바일 노드의 잘 알려진 이름, 주소(영구적인 32bit IP 주소) 또는 번호(e.g. 셀 번호)를 광고한다.
- 이는 일반적인 라우팅 테이블 교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.
- 인터넷 라우팅은 이미 이 작업을 할 수 있음
- 인터넷 라우팅은 이미 이러한 작업을 변경 없이 수행할 수 있다.
- 라우팅 테이블은 가장 긴 접두사 매칭(longest prefix match)을 통해 각 모바일의 위치를 나타낸다.
엔드 시스템이 처리하게 하기
- "edge"에서의 가능성
- 이동성 관리를 네트워크의 엣지, 즉 엔드 시스템에서 처리한다.
- 간접 라우팅(indirect routing)
- 통신 방식: 발신자(통신 상대)에서 모바일 장치로의 통신이 홈 네트워크를 거쳐 원격 모바일 장치로 전달된다.
- 절차
- 발신자는 모바일 장치가 있는 홈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낸다.
- 홈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원격 모바일 장치로 전달된다.
- 직접 라우팅(direct routing)
- 통신 방식: 발신자가 모바일 장치의 외부 주소를 받아서 직접 모바일 장치로 데이터를 보낸다.
- 절차
- 발신자는 모바일 장치의 외부 주소를 획득한다.
- 발신자는 획득한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직접 모바일 장치로 보낸다.
Home network, visited network: 4G/5G
홈 네트워크(Home Network)
- 홈 모바일 통신사 네트워크(Home Mobile Carrier Network)
- 사용자가 가입한 기본 네트워크이다.
- 사용자는 셀룰러 제공자와 유료 서비스 계획을 가지고 있다.
- 홈 네트워크의 HSS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.
방문 네트워크(Visited Network)
- 방문 모바일 통신사 네트워크(Visited Mobile Carrier Network)
-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이다.
- 방문 네트워크는 다른 네트워크와의 서비스 계약을 통해 방문하는 모바일 장치에 접근을 제공한다.
주요 요소 및 흐름
- 홈 네트워크
- 사용자의 SIM 카드에는 글로벌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, 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.
-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한다
- 방문 네트워크
-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를 벗어나 다른 네트워크 영역에 들어가면, 방문 네트워크에서 로밍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.
- 방문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 및 서비스 접근을 관리한다.
- 공용 인터넷 및 교환 지점
-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는 공용 인터넷 및 교환 지점을 통해 연결된다.
- 이는 글로벌 통신을 가능케한다.
Home Network, Visitied Network: ISP/WiFi
ISP/WiFi: 글로벌 "홈"의 개념이 없음
주요 내용
- ISP로부터의 자격 증명
- e.g. 사용자 이름, 비밀번호 등이 장치나 사용자와 함께 저장된다.
- e.g. 사용자 이름, 비밀번호 등이 장치나 사용자와 함께 저장된다.
- ISP의 국가 및 국제적 존재
- ISP는 국가적, 국제적으로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.
- ISP는 국가적, 국제적으로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.
- 다른 네트워크: 다른 자격 증명
-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는 다른 자격 증명이 필요하다.
- 일부 예외가 존재한다(e.g. eduroam)
- 4G와 유사한 이동성을 위한 아키텍처 존재
- 모바일 IP와 같은 아키텍처가 존재하지만, 사용되지 않는다.
네트워크 접속 과정(Access Process)
-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(Attach)
-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, 인증 액세스 서버를 통해 인증된다.
- 공용 인터넷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된다.담
Home network, visited network: generic
Registration: home needs to know where you are!
모바일 장치가 방문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자와 연결됨
- 모바일 장치가 방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이동성 관리자와 연결한다.
- 이 과정에서 방문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자가 모바일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.
- 방문 네트워크에서 할당된 NAT IP: 10.0.0.99
방문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자가 홈 네트워크의 HSS에 모바일 위치를 등록함
- 방문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자는 모바일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홈 네트워크의 HSS에 등록한다.
- 이 과정은 공용 또는 사설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진다.
최종 결과(End Result)
- 방문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자가 모바일 장치에 대한 정보를 가짐
- 방문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자는 모바일 장치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.
- 방문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자는 모바일 장치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.
- 홈 네트워크의 HSS가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알게됨
- 홈 네트워크의 HSS는 모바일 장치가 어느 방문 네트워크에 있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다.
'학교수업 > 컴퓨터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8: Security (1) | 2024.07.16 |
---|---|
Chapter6: The Link Layer and LANs (0) | 2024.07.12 |
Chapter5 Network Layer: Control Plane (0) | 2024.07.09 |
Chapter4: Network Layer-Data Plane (0) | 2024.07.04 |
Chapter3: Transport Layer-2 (0) | 2024.07.04 |